2014년 6월 30일 월요일

통계적기법 운영규정

통계적기법 운영규정

1. 목 적 : 이 규정은 강하넷주식회사(이하 당사 라고 함)에서의 품질 관리에 사용
되는 통계적 기법의 필요성을 파악하여 제품 특성에 맞게 활용 하도록 하며
사용 결과를 품질 개선의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범위 : 이 규정은 당사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대해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통계적 기법 : 어떤 목적을 위해 데이터를 모으는 방법 및 그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기법
을 활용,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쓰이는 수학적 기법.
 
4. 책임과 권한 사항
 
4.1 품질관리 부서장
 
4.1.1 품질관리 부서장은 당사의 제품 특성에 맞는 통계적 기법을 선정하여 각 담당자에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4.1.2 품질관리 부서장은 통계적 기법에 의한 DATA를 분석하여 관련 부서에 FEEDBACK
하여 생산 공정에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4.2 각 부서장
 
4.2.1 부서 내 DATA에 대해 통계적 기법의 필요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5. 업무 절차
 
5.1 품질관리 부서장은 당사의 만성적인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통계적 방법을 선정
한다.
 
5.2 당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통계적 기법은 다음과 같다.
 
5.2.1 통계적 기법 : SAMPLING 검사 --- 유첨 1 : 통계적 기법 지침
5.2.2 SAMPLING 방식 : 지침서 기준에 의한 검사
 
5.2.3 기타 필요한 경우 통계적 기법은 SPC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5.3 품질관리 부서장은 당사의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각 담당자에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5.4 품질관리 부서장은 통계적 기법에 의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련 부서에 FEED BACK해서
품질관리 활동의 자료로 활용하며 그 기록을 유지 관리한다.
 
5.5 당사에서 사용한 통계적 기법 대상 특성치는 검사 기록, 불량률 등이다.
 
5.6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각 부서장은 관계 부서에 그 결과를 통보하여 공정 및 품질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6. 기록 보존
 
6.1 본 규정을 실행 중 발생되는 품질 기록은 품질 기록 관리 규정에 따른다.
 
7. 관련 규정
 
7.1 품질 기록 관리 규정
 
8. 기 타
 
8.1 유 첨 1 : 통계적 기법 지침서
1. SAMPLING 검사
 
1.1 품질관리 부서장은 수입 검사 시 1.2 항의 SAMPLING 검사를 적용한다.
 
1.2 치수 검사는 검사 기준서에 별도로 정하지 않는 한 n=5로 하며 외관 검사는
n=30 이상으로 한다.
 
1.3 검사 엄격도 조정
 
1.3.1 보통 검사 까다로운 검사
 
(1) 연속 5LOT 연속 동일 불량 발생 시
(2) 월별 품질 평가에서 연속 3회 이상 C 등급업체
(3) 2회 이상 치명 불량 발생업체
 
1.3.2 보통 검사 수월한 검사
 
(1) 연속 8 LOT 이상 합격된 제품
(2) 최근 1년간 3건 이하의 경미한 품질을 야기한 업체
 
1.3.3 기타 출하 검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출하 검사 LOT 크기에 따른 시료 수는
기준표를 참조한다.
 
2. 공정 능력 지수 ( Cp )
 
2.1 관리 대상 특성치 : 중요 품질 예상품.
 
2.2 관리 부서명 : 품질관리 부서장은 중간 검사 성적서의 DATA를 이용하여
1/3개월 이상 실시
 
2.3 관리상태 판정기준 : 공정 능력표 (1) 에 의하여 판정 한다.



=======================================
파일의 다운로드는 Kangha.Net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14년 6월 29일 일요일

5S 체크리스트(사무용)

    5S 체크리스트(사무용)     팀  명    
  점  수    
5 S NO 체  크  항  목 체  크  내  용    
1 2 3 4
  1 서류장안에 불필요한 자료는 없는가? 서류장 안에 불필요한 서류,회의자료 등 불필요한        
          자료는 없는가?            
정리 2 개인 책상에 관한 불필요물은 없는가? 개인 책상위 서랍안에 불필요한 비품,자료는 없는가?        
(20) 3 불필요한 물건이 명시되어 있는가? 불필요한 서류,불필요한 물건을 한눈에 알수 있는가?        
  4 필요,불필요의 기준이 정해져 잇는가? 서류와 비품별로 처분기준이 정해져 있는가?          
  5 전시물은 정리되어 잇는가? 기간외의 전시.더러움.균형은 좋은가?          
  6 서류장과 비품의 배치장소 표시는? 장소표시를 모두 한눈에 알 수 있는가?          
정돈 7 서류와 비품의 품명표시는? 품명 표시가 되어.한눈에 알 수 있는가?          
(20) 8 서류와 비품은 사용하기 쉬운가?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놓여 있는가?          
  9 서류와 비품은 제자리에 놓여 있는가? 정해진 장소에 놓여 있는가?            
  10 통로와 전시물 등을 한눈에 알 수 있는가? 구획선과 게시판등이 명확하게 되어 있는가?          
  11 바닥에 먼지와 휴지 등이 없는가? 작업대가 더러워져 있지 않는가?          
청소 12 유리창과 주변에는 먼지가 없는가? 유리도 포함하여 더럽지 않는가?          
(20) 13 청소 분담이 정해져 있는가? 당번제와 담당자가 정해져 있는가?          
  14 쓰레기통이 넘쳐 있지 않는가? 먼지와 휴지를 버리는 장치는 되어 있는가?          
  15 청소는 습관화되어 있는가? 훔치기,쓸기의 습관화는?            
  16 배기와 환기는 좋은가?   담배연기와 후덥지근한 느낌은 없는가?          
청결 17 채광은 충분한가?   각도,조도는 좋은가?            
(20) 18 작업복은 깨끗한가?   더러운 작업복을 입고 있지 않는가?          
  19 방에 들어온 느낌이 상쾌한가? 배색.공기.빛등의 환경 전체는 좋은가?          
  20 5S를 지키는 규칙이 있는가? 정리.정돈.청소를 지키는 장치는?          
  21 정해진 복장인가?   복장은 단정한가?            
습관화 22 아침.저녁인사는 행해지는가? 스치듯 지나치는 인사는 분명하게 말 할수 있는가?        
(20) 23 회의와 휴식시간은 지키는가? 시간에 관한 결정사를 지키고 있는가?          
  24 전화와 전화받는 방법은 즐겁게 하는가? 용건을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가?          
  25 규칙은 지키고 있는가?   개개인이 지키려고 하는가?            
전 체     채점한다 (건수기입)                
체크자 체크자 :  
의  견             2001 .      .     .      



=======================================
파일의 다운로드는 Kangha.Net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14년 6월 28일 토요일

부적합품보고서


부적합품보고서
제 품 명
 
공 정 명
 
발 생 일 자
 
검 사 구 분
수입검사 중간검사
제품검사 기 타 :
부적합사항 (첨부 : , )
 
 
 
 
 
 
 
 
작성자(검사원)
()
확 인
()
처리방안(재작업, 수리, 특별채용, 용도변경, 폐기/반품)
1. 원인분석 :
 
 
 
 
2. 처리방안 :
 
 
 
 
 
 
작 성 일 자
 
작 성 자
()
확 인(첨부 : , )
 
 
 
 
 
 
작 성 일 자
 
작 성 자
()
양식 804-1(0)
()강하넷
A4(210×297)


=======================================
파일의 다운로드는 Kangha.Net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제어반 및 배선작업지침서



1.          목적
            
지침서는 제어반 제작 배선작업을 수행하는 필요한 작업방법 원칙을 규정함으로써 업무수행의 지침을 제시하고 효율성을 확보하는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지침서는 당사 장비제작에 사용되는 제어반 제작 배선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지침서에 기재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기조립 공정책임자의 문서화 지시에  따라 업무를 진행하여야 한다.


3.          용어의 정의
             N / A


4.          책임과 권한

3.1             담당임원
지침서를 승인한다.

3.2             부서장
지침서를 작성하고 .개정할 책임이 있다.

3.3             공정책임자
3.3.1       전기조립공정 절차서상의 공정책임자를 말한다.
3.3.2       작업자 또는 외주업체가 지침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도록 책임이 있다.

             3.4                      품질관리부
제어반제작과 배선작업에 대하여 검사업무 절차서에 따라 검사할 책임이 있다.



5.          업무 절차
            
5.1             제어반 제작
5.1.1       기본사양
1)     제작시 안전성, 보수성을 충분히 고려할 .
2)     배선방법은 표면 DUCT 내배선을 원칙으로 한다모아서 묶을 경우에는 결속된 BAND 또는 TIE 등을 사용할 .
3)     배선 단자대에는 회로도에 표시된 배선번호 기호를 반드시 부착할 .
4)     DUST COLLECTOR(MOTOR)에는 EOCR 반드시 사용한다.
5)     CONNECTOR부에서의 전원의 이동은 불가. (단자대를 별도로 만든다.)
6)     SEQUENCE AC 100V 또는 AC 220V NOISE FILTER 2차측에서 TWIST .
7)     DUCT에서 기기까지의 사이는 반드시 흑색 TUBE 익스팬더류로 보호한다.
8)     1차측 전원용 단자대는 1칫수보다 것을 사용한다.
9)     단자대(전원이외)에는 20% 정도 예비단자를 만든다.
10) 외주작업의 경우 통신 CABLE 당사에서 지급 또는 결정한 2 실드선을 사용할 .
11) 제어반내의 접지는 먼저 내에서 일괄하여 취부, 거기에서 전원계에 접속할 때마다 단자대의 E 뽑아버린다.
12) NOISE FILTER CASE 접지는 반드시 취부할 .
, USER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사전에 별도 지시함.
13) 계전기, 차단기의 COIL에서는 CR 또는 다이오드를 취부할 .
접점간에는 써어지 압소바를 취부할 . (, CR 다이오드부 계전기는 제거한다. )
14) 제어반내에서 외부에 전원을 공급할 필히 접지를 묶어준다.
15) 제어반내의 1Φ 전원은 필히 T상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 R-T, S-T)

5.1.2       배선의 구분
1)     동력회로
3 3선식(상용 주파수) 정면 방향에서 편리한 좌향에서
(하단방향에서, 자기앞에서)       * END CAP 필요, 녹색으로 합의한다.

                                                                  R           .            U                        적색
                                                                  S           .            V                        백색
                                                                  T           .            W                       흑색
                                                     단상 2선식(상용 주파수) 정면방향에서 편리한 좌향에서
                                                     (하단방향에서, 자기앞에서)

                                                                  R           .            U                        적색
                                                                  T           .            V                        흑색
2)     제어회로
AC 회로                            /흑색
DC회로                (전선식별 : NUMBERING 표시)

    DC                     24V       (DC 24V +)                 적색
    0                           V       (DC 24V –)                 청색
    5                           V       (DC  5V +)                적색
    N                                               (DC  5V –)                청색
    DC                     12V       (DC 12V +)                 적색
    NN                      V       (DC 12V –)                 청색
    신호선                                                                                              백색(INPUT) / 노랑색(OUTPUT)
접지선                  녹색

5.1.3       전선의 크기 종류
1)     전원회로
600V 비닐절연 전선으로 부하용량에 적합한 크기의 물건에서 1칫수가 것으로 사용.  VSF 또는 1V
2)     동력회로
내압 300V 이상으로 1.25mm 이상, 특히 MOTOR 회로는 KV 또는 KIV.
3)     신호 회로
15A 이하                                                       2
10A 이하                                          1.25
 3A 이하                                            0.5
 1A 이하                                            0.3
0.3A 이하                                           0.2
                                        4)          접지선                                                                                              2 이상

5.1.4       배선의 기본사양
1)     AC LINE DC LINE 같이 연결해서는 아니된다.
2)     NOISE FILTER 1차측과 2차측은 분리할 . (접지선은 별도 배선)
3)     배선상에 발열체(방열판) 있을 경우는 발열부의 상부는 피하도록 하고 옆방향, 하향방향에 부분에서 10mm 이상 이격할 .
4)     회로도 또는 지침서에 실드 지시가 있을 경우는 지시에 따를 .
5)     제어반 내에서의 전선JOINT(이음매) 금지한다.
분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단자대를 사용할 .

5.1.5       배선 결속 작업
기본적으로 NOISE 배관을 특히 중요시 .
1)     결속 BAND TIE등의 결속은 동일한 견격으로 하고 TIE 절단할 자리는 매듭과 가장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
2)     결속시는 결속부분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적절한 힘으로 단단히 조일것.
3)     본선에서 간선 분깃는 MAINTENANCE 생각하여 원칙에 어긋나지 않도록 .
4)     .간선의 고정은 WRITE CLIP SITE STICKER등으로 부품 접속부 등에 잡아 당기는 STRESS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여유있게 고정한다.
STICKER에는 TUBE 피복전선으로 상처가 나지 않도록 .
5)     SUS 철판 등의 관통 HOLE 전선을 통관시킬 경우는 반드시 고무 팩킹 또는 전선 보호재 등으로 COVER .
6)     NOISE FILTER 입력측, 출력측을 분리하고 같이 결속하지 않도록 한다.
7)     표면 DUCT 사용시 DUCT COVER에는 반드시 합의된 번호를 부착할 .

5.1.6       압착
1)     압착단자에 대하여
전원 동력회로는 RING TYPE 사용한다.
신호 제어회로는 Y TYPE 사용한다.
압착단자에 전용 TUBE 없는 것으로만 한다. TUBE 있는 압착단자는 사용불가
          KS 단자를 사용할 .
2)     0.3mm 미만의 실선 재질을 MOLEX PIN으로 압착할 경우는 아래 그림의 모습같이 노출된 도채부를 되돌려 접고 적당한 전용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확실히 압착한다.
MOLEX PIN 압착공구는 MOLEX 순정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3)     실선지름에 대응한 압착단자를 목적에 따라 적용할 .
기본적인 사용은 다음 1 같다.

압착단자
전선지름
1.25 SQ 단자
0.18mm ~ 1.25mm
2 SQ 단자
2mm
5 SQ 단자
3.5mm ~ 5.5mm
8 SQ 단자
8mm
14 SQ 단자
14mm

                            [ 1 ]

4)     심선 2본을 동시에 압착하는 것은 불가하다회로상 무리한 경우는 담당자의 확인 실시하도록 한다.
5)     압착단자는 압착부를 압착부분의 CENTER 하고 도체방향은 아래그림을 기본으로 한다, 압착단자의 압착부분이 용접이 안된 것은 뒷면을 압착해도 된다.

6)     단자접속은 1단자에 2가닥 까지로 한다, DIODE, 서어지킬러 등의 설치는 3가닥 까지 가능하다.
7)     서어지킬러, 다이오드 사용시 가장자리에 원형 압착단자를 사용한다만약,   원형 압착단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으로 연장하고 연결부분은 열수축   튜브 등으로 절연 처리한다.
8)     MOLEX 등의 압착 PIN 경우는 도체부분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하지 않으며, 예비납땜을 하지말것압착 CONNECTOR 완전히 끼우고 가볍게 당겨서 PIN 전선이 빠지지 않는 것을 확인할 .
MOLEX CONNECTOR사용시, 심선 CABLE 피본체의 벗길부분은 선번의 길이에 맞춘다.
9)     압착시, 압착단자에 내장되는 전선(동선) 전부 한묶음으로 처리할 .  (수염이   나와 있을경우 불량으로 한다. )
10) 단선 전선 단선 동축선의 압착은 같이 압착토오크를 약하게 하여 압착하고 압착부분에는 납땜을 .
”         1.25mm 압착단자 이면 압착 토오크의 2mm 압착부분에서 압착한다.

5.1.7       납땜작업
기본적으로 납땜 개소에 맞는 WATT수의 납땜기를 사용하고 반드시 예비 납땜을 하여야 한다납땜시 사용하는 납은 은수지가 60%이상 들어 있는 납을 사용하며 납땜기의 끝부분은 항상 청결히 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1)     CONNECTOR부의 납땜부에는 PFA TUBE 또는 열수축 TUBE 입힌다.


2)     트랜스 저항기기는 부분의 단자형상에 맞추어 가납땜한 후에 감아서 납땜을  한다.  
3)     S / W 납땜부분은 전부 PFA TUBE 또는 열수축 TUBE로서 보호하며 선번지시가 있을 경우에는 선번을 넣는다.

5.1.8        SHIELD 처리
1)     처리방법
심선, SHIELD공에 사용하는 경우

2)     심만 사용하는 경우

3)     SHIELD선의 연장
SHIELD선의 연장은 녹색선으로 별도 납땜할 .

5.1.9       전선번호
1)     선번방향은 좌에서 또는 아래측부터 시작하도록 한다.
2)     선번길이는 넘버링 4자리수가 15mm, 5자리수는 20mm 한다선번이 5자리수 까지 있는 경우는 모두 20mm 통일한다.
3)     선번지름은 사용단자 등에 따라 사용지름을 나누어 사용한다.
압착단자
TUBE
1.25 단자
Φ 3.6
단자
Φ 4
4)     선번 보호 TUBE 상처가 없을것.
5)     CONNECTOR 납땜할 부분의 PITCH 좁은 경우에도 원칙적으로 선번을 부착한다무리한 경우는 공정책임자 또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결정할 .

5.1.10   LABEL 붙이기
1)     부품의 DEVICE명을 종이 LABEL 인쇄하여 부품본체에 붙이는 것을 원칙으로한다.
2)     RELAY, MAGNET 품명 형번의 확인이 가능한 위치에 붙일것. , 붙일 장소가 없을 경우는 DUCT COVER 상부에 붙인다.
3)     배선 DEVICE 보이기 어려운 장소는 부품 DUCT 상부에 붙인다.
4)     DEVICE NO. LABEL 경사지지 않도록 붙일것.
5)     CABLE DEVICE에도 LABEL 부착한다
경우 LABEL 보호차원에서 스카치 TAPE 한번 감는 방법도 좋다.
6)     낱개선의 경우는 CONNECTOR 본체에 LABEL 붙이고, 스카치테잎으로 보호한다.
7)     FLAT CABLE LABEL 위로 스카치테잎을 한번 감아서 붙이거나 WHITE MARK 사용하여 CONNECTOR 상부에 직접 써도 된다.
굵은 전선의 경우도 위와 같이 한다.

5.1.11   사용부품에 대하여
사용부품은 아래에 기재되어 잇는 부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 외주제작의 경우 별도의 약정이 없는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류는 당사에서 지급한다
  
MAKER
용량 기타
RELAY
L.G
배선도에 따름
MAGNET
L.G
BREAKER
L.G
POWER SUPPLY
SUNTRONIX
, PARKER MOTOR 사용시 POWER SUPPLY 별도 지정함.

5.1.12   전원 투입시 주의사항
투입시에는 반드시 하기항목이 만족되었을 투입할 .
1)     배선 CHECK 배선도면을 기준으로 CHECK .
2)     통선 CHECK 원칙으로 .
3)     배선도에 작성되어 있는 부품이 제어반에 모두 장착되어 있는가 확인할 .
4)     외주제작시 지침서를 준수하지 않은 부품이 있을 경우에는 사전에 공정책임자 또는 담당자의 승인을 문서로 득하여야 한다.


5.2             배선작업
5.2.1       기본사양
1)     제작시 안전성, 보수성을 충분히 고려할 .
2)     배선방식은 표면 DUCT 내배선을 원칙으로 모아서 묶을경우 결속 BAND 등을 사용할 .
3)     배선 단자대에는 회로도에 표시된 번호 또는 기호를 반드시 부착할 .
4)     SENSOR, AMP 기체에 설치될 기기에는 회로도에 표시된 번호 또는 명칭을 표시할 .
5)     CONNECTOR 내부에서의 전원의 이동은 불가. (일단 CONNECTOR 외부로 빼내어 원형압착, 또는 중계단자에서 행한다. )
6)     DUCT 내부에서의 MOLEX 접속은 금지.  (MOLEX HOUSING 일단 DUCT 외부로 빼내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행한다. )
7)     외주작업의 경우 통신 CABLE 당사에서 지급 또는 결정한 2 SHIELD 사용할 .
8)     기본적인 BODY 배선은 MAINTENANCE 용이하게 하고 NOISE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한다.
9)     장비본체 측에서 FRAME 접지를 부착하되 FRAME 탭을 내지 않으면 부착용 BOLT 이용하고 녹색의 2 VSF 사용한다.
10) MOLEX 접속부의 MOLEX HOUSING에도 반드시 번호가 일치하게 부착할 .

5.2.2       통신 CABLE
1)     당사에서 지급 또는 결정한 2 SHIELD선을 사용할 .
l  SG FG 완전히 분리할 .
2)     배선길이는 최단거리로 하고 말끔하게 배선을 행한다.
3)     배선도중에서의 JOINT 기본적으로 금지한다부득이 연결할 경우에도 MOLEX등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담당자와 협의하고 도면 또는 개별사양서 등으로 지시를받을것.
4)     SHIELD선의 SHIELD심은 장비 FRAME GRUND 연결을 기본으로 한다.
5)     실제의 배선
(1)                          COMPUTER                                                                                                      OMRON C200HS

 (2)         COMPUTER                                                                                                      MASTER - K

                                                                  주의     :            MASTER – K 25PIN 사용시에는 7번이 GND.

5.2.3       배선 결속 작업
1)     다심 CABLE에서 분기된 선이 DUCT에서 기기에 접속될 경우에는 반드시 검정 TUBE 보호하고 위부터 결속한다.
2)     염화비닐 이외의 부분은 와이어 스티커는 불가  (특히 동작하는 부분)
3)     MOLEX CONNECTOR 접속할 선의 방향은 선번의 길이에 맞춘다.
4)     중계용 CONNECTOR 반드시 케이스를 부착하여 심선을 보호한다.
5)     DUCT 안에서의 MOLEX 접속은 불가.  (HOUSING DUCT에서 밖으로 빼내서 접속한다. )
6)     배선이 구동부분에 간섭을 받지 않을 것을 충분히 확인하고 결속한다불명확한 부분이 있으면 구체적으로 지시를 받을것.
7)     결속 BAND CABLE TIE 등의 결속은 등간격으로 하고 TIE 절단부분은 매듭에 밀착해서 절단하여 놓을것.
8)     결속시 결속부분에 상처가 생기지 않게 하고, 적당한 힘으로 조일것.
9)     부품 접속부 등에 인장 스트레스가 걸리지 않는 모양으로 적당한 여유를 두고 고정한다.

10) 동력선과 신호선은 동시에 결속하지 않을것.


=======================================
파일의 다운로드는 Kangha.Net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