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기반으로한 업무용 상가관리비계산,재고관리,간편장부,부동산중개업무관리,예정공정표,견적서,발주서,학생성적관리,금전출납부,작업일보 등 엑셀(xls) 파일과 자료양식
2014년 4월 30일 수요일
직원복무규정
직원복무규정
제 1 장 총 칙
제1조(목적)이 규정은 (주)강하넷(이하 "회사"라 한다)직원의 복무에 관한 제반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회사 직원의 복무에 관하여 다른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규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제3조(성실의 의무)모든 직원은 정관 및 제규정을 준수하며 성실히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제4조(복종의 의무)직원은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소속 상사의 명령에 복종하여야 한다.
제5조(비밀준수의 의무)직원은 재직 중은 물론 퇴직 후에도 직무상 비밀을 엄수하여야 한다.
제6조(청렴의 의무)①직원은 직무와 관련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사례․증여․향응을 수수할 수 없다.
②직원은 직무상의 관계 여하를 불문하고 그 소속 상사에 증여하거나 소속 직원으로부터 증여를 받아서도 아니 된다.
제7조(품위유지의 의무)직원은 직무의 내외를 불문하고 그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8조(직장 이탈 금지)직원은 소속 상사의 허가 또는 정당한 이유 없이 직장을 이탈하지 못한다.
제9조(집단행위의 금지)직원은 사전 승인 없이 직무 이외의 일을 위한 집단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10조(영리업무 및 겸직금지)직원은 공무 이외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며, 타 기관에 전속되는 직을 겸할 수 없다. 다만, 회사에 불명예스러운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총장이 허가할 수 있다.
제 2 장 근 무
제11조(근무시간)①직원의 근무시간은 평일은 09:00 - 17:00, 토요일은 09:00 - 13:00로 하며, 1주일에 44시간을 기본근무시간으로 한다.
②중식시간은 12:00-13:00로 한다. 단, 토요일은 중식시간을 두지 아니한다.
③야간교학부 직원의 근무시간은 14:00 - 22:00로 한다. 다만, 강의종료시간이 퇴근시간 이후인 경우에는 강의 종료시간을 퇴근시간으로 한다.
④수업 또는 부서별 업무에 지장이 없는 한, 주5일 근무를 실시한다. 다만, 주 5일 근무를 실시하지 않는 경비원 및 상용직의 근무시간은 근로기준법을 준용한다.
⑤총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근무시간을 변경하거나 연장 또는 단축할 수 있다.
제12조(특근)①총장이 업무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근무시간 이후 또는 휴일에도 특근을 명할 수 있다.
②직원의 토요일 오전근무는 특근으로 인정하지 아니한다.
③특근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특근관리규정에 의한다.
제13조(휴일)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날은 휴일로 한다.
1.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는 공휴일
2. 근로자의 날(직원에 한함)
3. 정부 또는 회사에서 임시휴일로 정하는 날
제14조(출장)①상사의 명령을 받아 출장하는 직원은 당해 업무수행을 위하여 전력을 다하여야 한다.
②출장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여비규정에 의한다.
제15조(당직근무)①근무시간외 문서처리 및 업무연락, 화재, 도난, 기타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당직근무를 실시한다.
②당직근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당직근무내규에 의한다. <개정 97. 5. 20>
제 3 장 근 태 관 리
제16조(출근관리 시스템 등록) 직원은 지정된 시간까지 출근하여 출근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여야 한다. <개정2001. 9.20>
제17조(출근상황부 관리)①직원의 출근상황부는 총무처장이 관리한다.<개정 97.5.20>, <개정2001. 9.20>
②총무과장은 일일 출근 상황을 확인하여 총무처장에게 보고한다.<개정 97. 5. 20>, <개정2001. 9.20>
③정당한 사유없이 지정된 시간까지 출근하지 아니한 직원에 대해서는 경위서 제출 등을 요구할 수 있다.<개정 97.5.20>, <개정2001. 9.20>
제18조(조퇴, 외출, 지각)직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유가 있을 때에는 미리 소속 단위부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1. 질병․기타 사유로 퇴근 시간 전에 퇴근하고자 할 때
2. 근무시간 중에 외출할 때
3. 다음날에 늦게 출근할 사유가 있을 때
제19조(결근)①직원이 불가피한 사유로 출근할 수 없을 때에는 사전에 결근계(별지 제3호서식)를 작성하여 총무과에 제출하여야 한다. 본인이 결근계를 작성․제출할 수 없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때에는 소속 단위부서장이 확인하여 제출한다.
②직원이 정당한 사유 없이 무단으로 결근하였을 때에는 그 정도에 따라 본인의 각종 휴가에 대한 제재, 시말서의 제출 요구, 징계조치 등을 할 수 있다.
제 4 장 휴 가
제20조(휴가의 종류)직원의 휴가는 연가․병가․공가 및 특별휴가로 구분한다.
제21조(휴가기간중의 휴일과 토요일)①휴가기간중의 휴일과 토요일은 휴가일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다만, 휴가일수가 1월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특별휴가중의 토요일 및 병가중의 휴일과 토요일은 그 휴가기간에 산입한다.
제22조(연가)①직원의 년․월차 휴가는 주 5일 근무제의 실시로 폐지하며, 다음 각 호와 같이 근속기간별 연가로 대체한다. <개정 97. 5. 20>
1. 6개월 미만 : 3일
2. 6개월 이상 3년 미만 : 6일
3. 3년이상 10년미만 : 9일
4. 10년이상 : 11일
②연가는 오전 또는 오후의 반일단위(13:00시 기준)로도 허가 할 수 있으며, 반일연가 2회는 연가 1일로 계산한다. <개정 97. 5. 20>
③제1항의 근속기간에는 휴직․정직 및 직위해제기간은 산입하지 아니한다. 다만, 법령에 의한 의무수행을 위하여 휴직한 경우에는 산입한다.
④결근․휴직․정직․직위해제 일수는 연가일수에 산입하며, 연가중의 공휴일은 연가일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⑤연가는 당해 학년도에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 소멸된다. 다만, 회사의 귀책사유로 인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⑥경비원 및 미화원의 연가에 관하여는 근로기준법을 준용한다. <개정 97.5.20>
⑦소속부서장은 업무상 필요시에는 연가중이라도 출근을 명할 수 있다.
제23조(병가)①직원이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년 60일의 범위 내에서 병가를 허가할 수 있다. <개정 97.5.20>
1.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2. 전염병의 이환으로 인하여 그 직원의 출근이 다른 직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우려 가 있을 때 <개정 97.5.20>
②직원이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요양을 요할 경우에는 년180일의 범위안에서 병가를 허가할 수 있다. <개정 97.5.20>
③병가일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제24조(공가)직원이 다음 각 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가를 허가한다.
1. 병역법 기타 다른 법령에 의한 징병검사․소집․ 검열점호 등에 응하거나 동원 또는 훈련에 참가할 때 <개정 97. 5. 20>
2. 공무에 관하여 국회, 법원, 검찰 기타 국가기관에 소환될 때
3.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투표에 참가할 때
4. 토익 등 공인외국어시험에 응시할 때 (신설 97. 5. 20)
5. 올림픽․전국체전 등 국가적인 행사에 참가한 때 (신설 97. 5. 20)
6. 천재지변, 교통차단 기타의 사유로 출근이 불가능할 때
제25조(특별휴가)①직원이 다음 각 호의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가를 허가한다.
1. 본인결혼 : 6일
2. 자녀결혼 : 2일
3. 본인 및 배우자의 형제자매 결혼 : 1일
4. 본인 및 배우자의 회갑 : 5일
5.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 회갑 및 칠순: 2일 <개정 98. 12. 7>
6. 배우자의 출산 : 1일
7. 배우자 및 자녀사망 : 6일
8.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 사망 : 6일
9. 본인 및 배우자의 조부모, 백숙부모, 형제자매(배우자 포함) 사망 : 3일
<개정98. 12. 7>
10. 외조부모 사망 : 2일
11. 본인 및 배우자의 부모 또는 배우자 탈상 : 2일
12. 본인 및 배우자의 조부모, 백숙부모, 형제자매(배우자 포함) 탈상 : 1일
<신설 98. 12. 7>
13. 본인 및 배우자의 외숙부모 사망 : 2일 <신설 98. 12. 7>
②임신중의 여직원에게는 출산을 전후하여 90일의 출산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2002. 2. 1>
③여자 직원에게는 매 생리기 마다 1일의 휴가를 줄 수 있다.
④정년퇴직이나 명예퇴직을 할 직원에게는 퇴직예정일 전 4월이 되는 날부터 퇴직예정일 전까지 특별휴가를 줄 수 있다. 다만, 보직자의 경우에는 이 기간 동안 보직을 면하되 보직수당과 판정비에 해당하는 금액 범위 내에서 특별휴가비를 지급할 수 있다.
<개정 97.9.25>
제26조(휴가의 절차)직원이 휴가를 받고자 할 때에는 전산시스템에 등록․출력하여 사전에 소속 부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다만, 사전에 등록하지 못할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단위부서의 장이 이를 대행할 수 있다. <개정2001. 9.20>
제 5 장 징 계
제27조(징계사유)직원이 다음 각 호의1에 해당하는 때에는 인사부서의 장은 그 사실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총장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징계처분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징계절차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징계 처분하여야 한다.
1. 회사의 제규정을 위반하였을 때
2. 상사의 직무상 명령을 거부하거나 이행하지 아니하였을 때
3. 상사에게 폭행 또는 폭언을 하거나 비방하였을 때
4. 형사소추의 원인이 되는 행위 또는 그와 유사한 행위를 하였을 때
5. 직무상의 의무에 위반하거나 직무를 태만히 하였을 때
6. 직장의 내외를 불문하고 명예나 신용을 손상케 하였을 때
7. 업무와 관련하여 부당한 이득을 취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부당한 이득을 취하게 하였을 때
8. 고의․과실 또는 관리 및 감독의 소홀로 회사에 손해를 발생케 하였거나, 손해를 방지하지 못하였을 때 또는 손해의 발생을 예측하였음에도 이를 보고하지 아니하였을 때
9. 직원의 근태 사항이 현저히 불량하였을 때
②징계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따로 정한다.
제 6 장 사 무 인 계
제28조(사무인계)전보․승진․강임․면직․휴직․장기출장 등의 명령을 받아 사무인계를 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 3일 이내에 미결업무사항 및 보관하던 문서․물품의 목록을 작성하고 필요한 것은 설명서를 첨부하여 소속단위부서장(부서장은 총장)이 지정한 자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부 칙
(시행일)이 규정은 2002년 2월 1일부터 시행한다.
2014년 4월 28일 월요일
비상사태 대비계획서
▶ 비상사태 대비계획서
"비상사태
항 목" "문제발생
가 능 성" 1차 기본 대책 "2차 세부 대책
(1차 불가능시)" "조치 부서
담 당" "연락처
관련철" "당사현황
비 고"
▶산업안전 "·현장사원
안전사고
·응급환자
" "·안전사고 발생시-미약한
경우 자체 후송하여 지정
병원 치료
·응급환자-지정병원 또는
119 긴급요청
·상시 비상약 준비
" "·좌와동일
·예방차원의 매달
실질적인 안전교육
실시(관리,보전 및
관련 부서)
작업 중 설비 스위
치 끄고 실시
·가동중 신체접촉
절대금지
" "·생산팀-
" "
" "·환자 이송시 차
량은 관련팀에
서 운행하여 신
속 처리함.
"
▶소방안전 "·전기로 인한
화재 발생" "·누전방지, 집중된 전력사
용 금지, 전열기구 취급주
의, 수시 안전점검" "·생산팀 안전점검
·전사원의 안전중요
성 교육 실시 " "·생산팀-
·관리팀-
" "·해당 없슴
"
"·가스, 기타
부주의에
의한 화재" "·화장실 담배, 기타 부주의
에 의한 화재 방지교육
·작업장 내 금연, 식당내외
취사시 주의" "·좌 동
" "·관리팀-
·생산팀-" "·소방조직도
·안전,보건
관리 체계도" "·산업안전, 소방
안전사고 발생
시 조직도에 따
라 전사원 행동
요령 숙지 및
신속처리"
"▶ 자연재해
기 타" "·우천시 기타
재난에 따른
문제
·도난 방지" "·산업안전/소방안전과 같이
정기적 훈련실시
-예방점검
·경비업무 철저" "·좌 동
" "·관리팀-
·관련팀-
" "·안전,보건
관리 체계도" "·해당 없슴
"
▶ 비상사태 대비계획서
"비상사태
항 목" "문제발생
가 능 성" 1차 기본 대책 "2차 세부 대책
(1차 불가능시)" "조치 부서
담 당" "연락처
관련철" "당사현황
비 고"
▶단 수 "·모타 고장시
단수" "·자체 수리
·예비 모타가동" "·수리업체 연락
조치" "·생산팀-
·관리팀-" "·예비모타 가동
"
·단전시 단수 "·내부단전시-자체 조치
·외부영향 단전시
-관할 한전 연락조치
·관할소방서 급수지원요청" "·한전 조치
·소방서 조치" "·상 동
" "· 한전
" "·한전,소방
서 - 편도30분
1시간 내
조치예상"
▶식 사 "·단전시 문제
·단수시 문제" "·상 동
·빵, 우유 등 수급조치
·인근식당 식사 공급" "·해당 없슴
" ·관리팀- "·1차 조치 가능
-왕복 20분
90-60분 이내
조치 가능"
▶단 전 "·설비가동 중
단, 생산활동
지장. 불가" "·2시간내 조치, 생산지장
미약시-생산진도 조절
교육" "·2시간 이상 또는
긴급시-외주업체 인
원 파견, 지원 받음" "·관리팀-
·생산팀-" · 편도 1시간 내
"·PC등 중요
정보 손실" "·중요정보 사전대비(복사)
" "·관리팀-
·설계팀-" ·사전대비 완료
▶ 비상사태 대비계획서(공통)
"비상사태
항 목" "문제발생
가 능 성" 1차 기본 대책 "2차 세부 대책
(1차 불가능시)" "조치 부서
담 당" "연락처
관련철" "당사현황
비 고"
▶검사 "·QC 결원시
문제" "·공정위임자 선임,교육,투입
·조.반장 외 QC관리 투입" "·해당 없슴-1차로
가능" ·생산팀- "·QC/생산협력
체제 유지"
"▶포장 및
납 품" "·납품 시간
지연 또는
차량문제" "·소량 긴급품-전부서 관리
사원 차량동원
·초긴급-릴레이식 처리" "·해당 없슴-1차로
가능" "·생산팀-
·전부서-" "·전부서 업무
연계,협력"
"▶최종 비상
사태 대비" "·현장 사원
전체 결원
-휴일, 파업
등 중대한
사태 발생
비상 조치
대비 문제" "·최종 비상사태 조직도
에 따라 정.부 지휘에
따라 각 LINE의 팀원
을 동원하여 생산라인
을 가동 시킴" "·진행중 기타 문
제 발생시 고유업
무 진행팀원과 비
상사태 조치팀원
을 적절히 배치하
여 문제를 해결하
고, 진행사항은
각LINE 정.부가
각 팀장에게 즉각
보고 지시를 받아
실행한다." "·각부서-팀장
및 최종비상
사태 정 부
담당
·최종 비상사태
대비 조직도
참조" "·해당 연락망
·최종 비상사
태 대비
조직도" "·최종 비상사
태는 현장사
원 전원 결원
시 최악의 비
상사태를 가
정하고, 각
LINE 비상조
치팀 정.부
는 실제 기능
을 갖춘 구성
원임."
2014년 4월 27일 일요일
재고조사서
재고조사서
□ 자재
재고 조사서
□ 제품
═══════════
작성일자 : 200 년 월 일
결
재
작 성
검 토
승 인
NO.
품 명
규 격
총반입수량
재고수량
실재고수량
비 고
양식 707-2(0)
(주)강하넷
A4(210x297)㎜
2014년 4월 26일 토요일
근무일지
근무일지
근무일지
작성일자 : 2005. 05. 03.
결
재
담 당
부 장
이 사
사 장
근
무
현
황
일 근
야 근
숙 직
근 무 시 간
비 고
20:00 부터
08:00 까지
일
일
관
찰
사
항
의견 및 건의사항
보 고 사 항
특 기 사 항
양식번호 : QF-201-5 강하넷(주)
2014년 4월 25일 금요일
내부심사규정
내부심사규정
1. 적용범위
본 규정은 당사 품질경영시스템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내부심사
의 시행절차와 경영검토에 대하여 규정한다.
2. 목 적
본 규정은 당사의 품질활동 및 그 결과가 품질경영시스템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고
유효성을 평가하여 부적합에 대한 개선을 실시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내부 심사
품질활동 및 관련 결과가 계획과 일치하고 있는가와 그러한 사항이 효과적으로 실시되어 목적달성을 위한 품질경영시스템이 적절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체계적이고 독립적인 조사
3.2 내부심사원
당사로부터 내부 심사자로서 자격을 부여받은 사람
4. 책임과 권한
4.1 이 사
4.1.1 연간 감사계획 수립
4.1.2 내부 심사일정 수립 및 통보
4.1.3 부적합 조치 요구서 발송
4.1.4 부적합사항의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결과의 사후관리
4.1.5 심사결과 보고 및 경영검토 회의 상정
4.2 내부심사원
4.2.1 심사내용을 심사팀장에게 통보
4.2.2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요구서 작성
4.3 피 심사 부서장
4.3.1 부적합 조치 요구에 대한 원인분석과 대책수립 실시
4.3.2 부적합 사항의 시기적절한 조치
4.3.3 조치완료시 조치결과 통보
내 부 심 사 규 정
문서 번호
QP-10
개정 일자
2005. 04. 28
개정 번호
1
페 이 지
3/7
5. 내부 심사 계획
5.1 이사는 내부 심사 계획서(양식1)에 아래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연간 심사계획을
수립한다.
5.1.1 심사대상(수감부서)의 활동상태 및 중요성
5.1.2 심사범위
5.2 심사대상 및 범위설정
심사대상 및 범위 설정은 품질경영시스템 전분야(전부서, 품질관련 제반표준)에 걸쳐 심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심사목적 및 업무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전회 심사시 지적사항 또는 지적 부서에 한해 실시 할 수도 있다.
5.3 심사시기 결정
5.3.1 정기심사
연간심사 계획에 의해 실시되는 심사로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고려하여 최소 년1회이상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⑴ 품질경영시스템 점검 및 개선을 위해(적합성, 유효성 평가)
⑵ 경영검토 및 경영자의 관리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5.3.2 특별심사
연간 심사 계획에 수립되지 않은 심사로서 아래와 같은 시기에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⑴ 조직 개편이나 규정의 개정등으로 품질경영시스템 운용에 변경이 있을 때
⑵ 중대한 부적합 사항 발생 또는 감사 지적사항의 재발에 따라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⑶ 기타 품질경영시스템의 체계적인 별도의 평가나 분석이 필요할 때
5.4 심사팀 구성
5.4.1 이사는 아래와 같은 사항을 검토하여 심사원 및 심사팀을 구성한다.
⑴ 심사원의 자격
당사의 교육훈련 규정(QP-03)따라 내부 심사원 자격을 부여받은자
⑵ 심사원의 독립성
피심사 부서에 직접적인 책임이 없는 자
5.4.2 심사원의 인원은 가급적 객관성 확보를 위해 매회 2인 이상의 심사팀을 운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내 부 심 사 규 정
문서 번호
QP-10
개정 일자
2005. 04. 28
개정 번호
1
페 이 지
4/7
5.4.3 이사는 심사팀에 의한 심사를 수행할 경우 심사 목적에 따라 심사팀장을 별도로
선정 할 수 있다.
6. 내부 심사 준비
6.1 심사시행 계획수립 및 통보
심사팀장은 연간 심사 계획에 의거하여 경영자의 승인을 득한후 최소 심사실시 7일전
피심사 부서로 통보한다.
6.2 심사 점검표 작성
심사원은 품질 시스템의 요건 및 과거 실시한 심사 보고서등을 참조하여 심사체크 리스트(양식2)를 작성하고 심사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심사 시행중 체크리스트에 국한하지 않고 해당 문서의 수행상태를 심사 할 수 있도록 한다.
7. 내부품질 심사실시
7.1 심사의 실시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의해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당시 심사 실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심사 진행을 제외한 절차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7.1.1 시작회의
심사의 목적 및 범위설명, 피심사 부서의 협조사항 및 심사시 주의사항 설명, 질의응답, 기타의 내용으로 실시한다.
7.1.2 심사진행
⑴ 심사 진행시 심사원의 권한
① 심사시 피 심사 부서에 필요한 답변, 물증, 관련자료 제출요구
② 심사시 관련부서에 출석 요구 및 답변, 자료제출 요구
③ 기타 심사에 필요한 사항요구
⑵ 심사원의 의무와 자세
① 객관적 사실과 증거에 의한 확인 및 판단
② 공정한 태도유지 및 피 심사부서 과실, 오류, 부적합 사항 지적
③ 문제 적출보다 개선유도
④ 심사 목적에 위배되는 사항의 서류요구 배제
⑤ 피심사 부서가 갖는 부정적 반응 고려 원만한 대인관계 유지
내 부 심 사 규 정
문서 번호
QP-10
개정 일자
2005. 04. 28
개정 번호
1
페 이 지
5/7
⑶ 심사내용 및 요령
① 심사점검표 또는 규정에 의한 충분한 현장조사 실시
② 질문, 관찰, 확인에 의한 심사수행
③ 발견된 부적합 사항에 대한 사실적 근거자료(증거) 확보 및 문서화 (점검표에 지적사항 작성)
④ 즉시 시정조치 필요사항은 구두로 통보하여 시정조치 요구
7.1.3 정리회의 및 심사팀 회의
① 정리회의는 심사팀과 피 심사자와의 부적합 사항의 검토, 심사 진행상의 문제점 및 정보교환이 필요할 경우 실시한다.
② 심사팀 회의는 심사팀에 의한 심사를 하였을 경우 일일 심사결과 및 진도의 검토와 진행상의 문제점 해결이 필요할 경우 실시한다.
③ 심사원은 정리회의 또는 심사팀 회의를 통하여 심사 진행시 작성한 지적사항에 대하여 피심사자에게 확인을 받아 종결 회의시에 발표하고 심사보고 및 시정조치에 반영토록 한다.
7.1.4 종결회의
심사원의 종합의견 발표 및 시정 조치에 대한 협조 요청사항, 차기 심사일정등의 내용전달이 필요할 경우 실시한다.
8. 내부품질 심사 보고 및 시정조치도구
8.1 심사원은 심사가 완료되면 심사 체크리스트(양식2)를 근거로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요구서(양식3)에 발견된 부적합 사항을 기록하여 이사에게 보고한다.
8.2 내용 검토 및 시정조치 통보
이사는 부적합내용을 검토하여 시정조치 및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요구서(양식3)를
승인 후 피심사 부서에 발송, 대책수립 및 시정조치를 요구한다.
8.3 이사는 심사종결후 심사보고서(양식4)를 작성하여 경영자의 승인을 받는다.
8.4 경영자의 승인을 득한후 관련부서에 배포하여 참조토록 한다.
9. 시정조치
9.1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요구서(양식3)를 접수받은 해당부서는 조치 계획을 작성하여
조치를 실시한다.
내 부 심 사 규 정
문서 번호
QP-10
개정 일자
2005. 04. 28
개정 번호
1
페 이 지
6/7
9.2 해당부서장은 조치 완료후 조치 결과를 이사에게 보고한다.
9.3 이사는 이에 대한 사실을 확인 및 평가하고 종결한다.
9.4 부적합은 1개월 이내에 시정조치가 완료되고 시정조치에 대한 확인 심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차기 심사시 확인 할 수 있다.
(단, 1개월이내 시정조치가 불가한 경우 해당부서에서 시정조치 가능일정을 수립하여 이사에게 보고한다.)
9.5 이사는 심사결과 및 시정조치 결과를 경영검토시 안건으로 상정한다.
10. 경영검토
경영검토는 최고 경영자가 내부감사후에 행하며,경영검토 근거자료는 이사가 준비한다.
10.1 경영검토 입력
경영검토 입력사항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내부심사 결과
2) 고객 피드백
3) 프로세스 성과 및 제품적합성
4) 이전의 경영검토에 따른 후속 조치
5) 품질경영시스탬에 영향을 줄수있는 변경
6) 개선을 위한 제언
10.2 경영검토 출력
1) 품질경영 시스템의 효과성 및 그프로세스의 효과성 개선
2) 고객요구사항과 관련된 제품의개선
3) 자원의 필요성
10.3 경영검토 기록
경영검토한 결과 및 근거는 경영검토서(양식5)에 작성 유지한다.
2014년 4월 24일 목요일
견적서
견 적 서
NO. - - 강 하 넷 (주)
2014-05-06 사업자 등록번호
貴 下 대 표 이 사
일 금 : ☏ 본 사
공 장
품 명 규 격 수 량 단 가 금 액 비 고
1. 원 자 재 1식
2. 부 자 재 1식
3. 노 무 비(직접,간접) 조립, 시험 1식
4. LOSS (1+2+3)의 3%
5. 일반관리비 (1+2+3+4)의 10%
6. 이 윤 (1+2+3+4+5)의 10%
7. 합 계
이 하 여 백
* * 특 기 사 항 * *
1. 본 견적서 금액은 V.A.T별도 금액입니다.
2. 본 견적서의 금액은 월마감하여 다음달 결재 3개월어음 조건입니다.
3. 본제품의 하자 유효기간은 납품일로부터 1년간이며, 하자기간중 자연발생의 고장제품은
폐사입고시 무상 A/S하여 드립니다.
4. 본 견적서의 유효기간은 3개월이며, 제품은 발주처의 지정장소에 납품조건입니다.
4.4 100-4(2) ISO 표준 준수의 생활화!
2014년 4월 23일 수요일
통계적기법절차서
통계적기법절차서
1. 적용범위
본 절차서는 (주)강하넷 (이하 “당사”라 한다)에서 사용되는 통계적 품질
관리 기법(이하 “통계적 기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당사의 공정능력과 제품 특성의 합격 수준을 입증하기 위한 적절한 통계적
기법의 확인 절차를 통하여 제품 품질을 확보하고, 공정품질 안정과 품질개선
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정의
3.1 통계적 품질관리
고객이 요구하는 모든 품질을 확보 유지하기 위하여 품질목표를 설정하고
이것을 합리적이고도 경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모든 통계적
기법을 응용하는 활동 체계를 말한다.
3.2 공정능력 (PROCESS CAPABILITY)
통계적 관리 상태에 있는 공정의 정상적인 움직임, 즉 외부 원인에 방해됨이
없고 운영되고 있는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일련의 예측할 수 있는 결과이다.
4. 책임과 권한
4.1 품질관리부
4.1.1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연구
4.1.2 QC기법 자료수집 및 보급
4.1.3 QC기법 교육지도
4.1.4 DATA해석에 의한 원인분석 및 최적조건 설정
4.2 사용부서
4.2.1 품질 DATA집계 및 분석
4.2.2 QC기법적용 DATA기록 유지관리
5. 운영절차
5.1 운영계획
5.1.1 품질관리부서장은 통계적 기법을 업무에 적용하여 제품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도록하기 위한 운영계획을 품질관리 교육계획 수립시 반영한다.
5.2 통계적 기법의 종류
당사에서 사용하는 통계적 기법은 X-R관리도, 파레토도, 그래프, 공정능력,
샘플링 검사 등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5.2.1 X-R관리도
정상적으로 작업해도 어쩔수 없이 발생하는 산포(우연 원인에 의한
산포)와 그대로 보아 넘길수 없는 산포(이상 원인에 의한 산포)를
구별함으로 공정이 안정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알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이상상태 여부를 빨리 알아내고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기법이다.
5.2.2 파레토도
불량, 결점, 고장등의 발생건수(또는 손실금액)를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큰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그림이다.
5.2.3 그래프
데이타를 그림으로 나타내어 데이타의 변화와 경향 등을 시각화하고
그 내용을 한눈에 알 수 있게끔 하여, 정보를 빠르고 정확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수법이다.
5.2.4 공정능력 지수
공정이 규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한다고
할때 이용하는 평가방법이다.
5.2.5 샘플링 검사
검사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해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로트의 판정
기준과 대조하여, 그 로트의 합격․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를 말한다.
5.3 해석
5.3.1 통계적품질관리 기법을 사용하는 자는 이상점이 발생하거나 품질문제가
발생되면 문제에 대한 원인분석 및 대책을 수립하여 최적조건을 찾아
시행하도록 조치한다.
5.3.2 통계적 기법의 담당자는 DATA의 해석을 신속 정확히 하여 최적 실행
조건을 찾아 시행착오를 일으키지 않도록 해야하며 그 실행대책은 실행
부서에 FEED BACK시킨다.
5.3.3 통계적 기법은 국제, 국가 해당 규격류, 공인기관에서 발간된 책자 등
관련자료를 토대로 유지 활용할 수 있다.
5.3.4 제품의 품질특성이 계량치로 측정되는 경우,공정능력를 평가하여 개선
활동을 실시한다.
2014년 4월 22일 화요일
제조설비관리대장
제조설비관리대장
설비번호
제 작 사
구 입 처
설 비 명
기기번호
구입금액
규격/형식
구입일자
비 고
사 진
부 품 명 세
No.
품 명
규 격
비 고
이 력 현 황
일 자
내 용
금 액
확인
일 자
내 용
금 액
확인
양식 603-1(0)
(주)강하넷
A4(210×297)㎜
이 력 현 황
일 자
내 용
금 액
확인
일 자
내 용
금 액
확인
양식 603-1(0)
(주)신신체육21
A4(210×297)㎜
주역에 이르기를, 선을 쌓지 않으면 족히 이름을 이룰 수 없을 것이요,
주역에 이르기를, 선을 쌓지 않으면 족히 이름을 이룰 수 없을 것이요,
악을쌓지 않으면 족히 몸을 망칠 수 없을 것이거늘,
소인은 조그마한 선으로서는 이로움이 없다고 여겨 행하지 않으며,
조그마한 악으로서는 해로움이 없다고 여겨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악이 쌓이면 가릴 수 없으며,
죄가 커져서는 풀 수가 없느니라.
周易曰,善不積,不足以成名,惡不積,不足以滅身,小人,以小善爲无益 而弗爲也,以小惡爲无傷而弗去也,故,惡積而不可掩,罪大而不可解
2014년 4월 21일 월요일
소시지생산절차서
목적
본 지침서는 강하넷의 제품 생산에 관련된 작업방법을 정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적용범위
본 지침서는 튀김제품 생산작업에 대하여 적용한다.
책임과 권한
생산3과장
당일 생산량을 지시하고 생산 감독한다.
관리지표를 작성한다. (생산성, 수율, 불량율)
불량수량 및 원인분석 - 사후관리
업무절차
생산준비
제조설비는 작업반장이 작업전, 작업중에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제조설비점검일지(첨부 3)를 작성한다.
생산과장은 생산계획에 따라 작업팀(자)별로 1일 작업량을 할당한다.
작업량은 메모지에 작성하여 작업팀(자)에 작업을 지시한다. 일부 작성되지 않은 내용은 구두로 설명. 지시한다.
생산에 필요한 원료는 생산지시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전에 수량을 확인하고, 부족수량에 대한 자재는 출고요청서를 작성하여 자재관리자에게 출고를 요청한다.
생산과장은 원료육 품목별 상태 및 날짜. 등급 확인하고 사용에 적합한 자재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생산작업
작업자는 배합기준서에 의한 원료의 배합을 한다. 배합에 대한 작업은 모두 배합기준 지침서에 따른다.
배합된 원료는 성형반으로 이송하여 성형표준에 의한 성형을 실시한다. 배합 작업 후 원.부재료 사용일지(첨부 2)를 작성하여 재료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원료는 KG규격. 농산물 검사 규격, 식품첨가물 식품규격에 합격한 재료로 엄선한다.
원료육 쵸핑. 원료를 적당히 해동 후 분쇄하여 진공카타기에 투입한다.
분쇄된 원료를 진공카타기에 투입하고 첨가물 및 부재료를 혼합하여 배합한다.
진공충전기 및 더블크리퍼로 일정 중량 및 형태로 결착시킨다.
충진되어 트로이에 걸어진 반제품을 스모크HOUSE에 넣어 훈연시킨다.
후랑크.볼로냐소시지 스모크 공정 기준 구분
품명
규격(BOX)
스모크 하우스
훈연 공정 온도
성형중량
(g)
피복중량
(g)
살균
온도시간
후랑크
1kg×10EA
(봉/35EA)
드라이 65℃~30분
32~33g
30g
90℃
핫스모킹 70℃~20분
~18분
인터시브스모킹 70℃~15분
쿠킹 85℃~15분
드라이 65℃~5분
볼로냐
300g×40EA
드라이 65℃~30분
315g
300g
90℃
핫스모킹 70℃~25분
~18분
인터시브스모킹 70℃~20분
쿠킹 85℃~50분
드라이 65℃~5분
훈연된 반제품을 흐르는 물로 냉각시킨다.
냉각된 제품을 절단 및 탈피하여 진공포장한다.
진공된 제품을 고온 90~95℃로 살균냉각수로 냉각한다.(냉각시간 35~40분)
살균냉각된 제품의 수량을 확인하여 박스포장한다.
포장
생산된 제품을 규격에 맞게 포장한다.
제품의 실링상태와 진공불량을 확인한다.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생산된 제품은 박스 포장을 실시한다. 포장시는 다음 내용을 확인한다.
성형 불량 선별하여 포장
중량 확인 및 수량 확인
'KG' 단위 포장 (품명 및 제조일자 기입)
불량품은 부적합제품 관리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보관관리
포장이 완료된 제품은 1시간 이내에 제품창고로 운반하여 보관관리 되어야 한다.
창고는 품목별, 계절별로 냉장.냉동 보관한다.
냉동보관 : 5월 ~ 9월 생산시
냉장보관 : 10월 ~ 4월 생산시
제품창고에 입고한 수량은 출고 담당자가 제품수불대장에 기록하는지 확인을 하여야 한다.
품질기록
본 지침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도중 발생되는 기록은 기록관리 지침서(문서번호 : KangHaP-403)에 따라 기록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기 록 명
양식 번호
보존년한
보관부서
원.부재료 사용일지
QI-E105-1
3년
생산3과
공정관리일지
QI-E105-2
“
“
제조설비 점검일지
QI-E105-3
“
“
관련문서
공정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KangHaP-707)
기록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KangHaP-403)
부적합제품관리 절차서 (문서번호 KangHaP-804)
2014년 4월 20일 일요일
초(종)물 Sample Check
초(종)물 & SAMPLE CHECK SHEET 결
재 작 성 검 토 승 인
LINE 작성일자 MODEL 명 측정자 측정결과
02. . 검사자 YES NO
NO UNIERP PART-NUMBER 소요 측 정 치 비 고
하한치 상한치
1
2
3
4
5
6
7
8
9
10
특기사항
IQI-4095-002b A4 ㈜강하넷 2002.08.05(Rev. 0)
가난한 집 신주(神主) 굶듯 한다
가난한 집 신주(神主) 굶듯 한다
>>> 굶기를 예사로 한다는 말.
가난한 집에서 산 사람 먹을 것도 없는 처지라 죽은 사람을 위한 음식은 아예 생각할 수도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2014년 4월 19일 토요일
학생성적관리 V32
학생성적관리V32 :
매월 또는 매회 작성하는 데이터의 총체적인 관리로 년도와 관계없이 데이터 관리가 가능합니다.
반, 전체의 평균 및 석차를 표시하였고, 매월(회)의 그래프를 통해 현재의 추세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작성된 데이터는 한번의 클릭으로 전체의 성적표를 출력합니다.
각 과목별 및 전체의 그래프를 확인하도록 하였고 성적통지표는 평균점수에 따라 등급 및 상용문구를 나타냅니다.
성적표 발송을 위한 주소라벨의 인쇄를 할 수 있습니다
개인별 전과목을 한눈에 볼수 있도록 하였고, 정규분포표를 그려서 전체인원에 대한 점수분포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슴.
과목 분석중 문항별로 어떠한 지문에 정오답이 많은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언어/외국어의 듣기/쓰기/말하기/문법…. 및 수리의 미분/적분/통계/기하…. 등
각 과목별 유형/단원의 분류로 분석함으로써, 학생의 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_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을수도 있으나 데이터 입력 후 집계/분석 실행하면 값이 변경됩니다.
3. {설정} - [설정하기] 실행
4. {성적입력} 시트에 과목별 [새로작성] - 성적내용 입력 - [점수저장] 실행
5. 데이터 입력하는 시트
① {설정} , {점수입력} , {문항_점수}
② 나머지 시트는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습니다.
점수입력 시트
0. 메뉴버튼
(1) [새로작성] : 현재 보이는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 작성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2) [점수저장] : 작성된 데이터를 {저장}시트에 저장합니다.
(3) [필터검색] : 현재보이는 데이터에서 반별/이름별로 검색합니다.
(4) [필터해제] : 검색을 원위치합니다.
(5) [회차] : (스핀단추) 월(회)를 증가 또는 감소하며 해당 회차의 내용을 나타냅니다.
1. [새로작성]
(1) 현재의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 입력할 수 있는 상태로 나타냄
(2) 회차(C7셀)는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3) 시험일자(E7셀), 시행기관(H7셀)의 내용을 작성
(4) 각 인원별 점수 작성
(5) 과목별로 문항분석을 할 과목은 {문항점수}시트에서 작성하고,
[문항점수=>점수입력]을 실행하면 해당내용을 {점수입력}시트로 작성합니다.
(6) {설정} 시트에서 제외란에 체크된 인원은 리스트에서 제외합니다.
따라서 제외할 인원이라면 우선적으로 {설정}시트에서 제외란에 체크하여 주세요.
2. 점수의 수정/저장
(1) 저장된 해당 회차의 데이터를 찾습니다. (스핀단추 이용)
(2) 내용수정
(3) [점수저장] 실행
3. 저장된 내용 찾기
(1) 이미 저장된 내용을 찾고자할 경우에는 스핀단추(회차(화살표))를 이용하여 찾으면 됩니다.
(2) 스핀단추 버튼으로 이동하기가 긴 경우에는 회차(C7셀)에 숫자를 입력하고 스핀단추를 실행하세요.
4. 필터검색
(1)[필터검색] - 반 또는 이름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2)검색단어는 한(1) 글자 이상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성(김,이,박,최...)으로도 검색가능함
(3)필터링 해제할 경우에는 [필터해제]를 실행합니다.
5. 기타
(1) 각 인원에 대한 과목별 점수를 입력 및 저장합니다.
(2) 이 시트에서 저장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다른시트에서 집계/분석/출력 합니다.
따라서 학생의 성적 데이터 관리는 이 시트에서 입력/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단, 문항별 점수가 있는 경우에는 {문항_점수}시트부터 입력/수정 하세요.
(3) 데이터는 한꺼번에 전체 인원 및 전과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4) 저장 가능범위 ; 40과목 이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학생명단 및 과목은 {설정}시트에서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a. {설정}시트의 (W11~ )셀에서 제외에 체크되어 있는 학생은 [새로작성]시 명단이 작성되지 않습니다.
b. 회차(월)별로 시험보는 인원이 변경이 된다면 그 때마다 {설정}시트에서 (제외)를 변경하세요.
전체분석, 개인별분석 시트
0. 메뉴버튼
(1) [전체_분석] : 전체 인원의 과목별 평균점수를 나타냅니다.
(2) [개인별_분석] : 개인별 과목별 점수를 나타냅니다.
(3) [그래프_작성] : 현재 데이터를 그래프로 작성합니다.
(4) [그래프_삭제] : 그래프를 삭제합니다.
(5) 스핀단추(반/개인) : 반/개인별 값을 찾아 옵니다.
1. 반평균(D열), 전체평균(E열) 값은 전체기간의 평균값입니다.
2. 그래프
(1) 과목별 그래프의 최대값은 100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2) 그래프 작성시는 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정확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3) 50점 이하의 그래프는 50점으로 나타냅니다.
(4) 그래프는 값(22행이하)을 변경 후에 언제든지 다시 그릴수 있습니다.
(5) 막대그래프는 전체평균,반평균을 나타냅니다.
(6) F열의 색깔은 그래프색의 범례입니다.
정규분포표 시트
0. 메뉴버튼
(1) [표준편차] : 현재 인원에 대한 과목/전과목 점수를 나타냅니다.
(2) 스핀단추[범위] : 전체평균을 기준으로 범위(X4:Y5셀)를 좌우로 나타냄(분홍색 바탕)
(3) 스핀단추[과목] : 과목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냄
(4) 스핀단추[학번] : 학번순으로 평균에 대한 값/그래프를 나타냄
(5) [그래프_삭제]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어느 시트건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1. 스핀단추 3개 모두 즉시 값을 변경하면서 그래프도 동시에 변경합니다.
2. 좌측 작은그래프는 과목별 표준편차이고 우측의 큰그래프는 전과목의 표준편차입니다.
3. 그래프는 {점수입력}시트에 있는 값을 나타냅니다.
점수분석 시트
0. 메뉴버튼
(1) [점수분석] : 현재 인원의 과목에 대한 점수를 나타냅니다.
(2) [그래프삭제]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3) 스핀단추[학번] : 학번에 따라 반명/성명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4) 스핀단추[과목] : 과목선택
1. 회차(월)의 기준은 {점수입력} 시트에서 입력한 회차(월)을 기준으로 합니다.
2. 그래프는 (C40)셀 값부터 12월(회차)간을 표시됩니다.
5회~14회까지를 보고 싶으면 (C40)셀에 5를 입력하세요.
3. 오른쪽 막대그래프는 참고용으로 현재까지의 누계 값입니다.
4. 그래프의 크기는 사용자에 맞게 적당히 조정하여 사용하세요.
(1) 조정방법 : 셀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하세요.
(2) 너비/높이는 균등하여야 제대로 표현이 됩니다.
5. 그래프 작성시는 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정확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순위분석 시트
0. 메뉴버튼
(1) [순위분석] : 현재 인원의 과목에 대한 순위를 나타냅니다.
(2) [그래프삭제]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3) 스핀단추[학번] : 학번에 따라 반명/성명은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4) 스핀단추[과목] : 과목선택
1. 회차(월)의 기준은 {점수입력} 시트에서 입력한 회차(월)을 기준으로 합니다.
2. 그래프는 (C40)셀 값부터 12월(회차)간을 표시됩니다.
5회~14회까지를 보고 싶으면 (C40)셀에 5를 입력하세요.
3. 오른쪽 막대그래프는 참고용으로 현재까지의 누계 값입니다.
4. 그래프의 크기는 사용자에 맞게 적당히 조정하여 사용하세요.
(1) 조정방법 : 셀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절하세요.
(2) 너비/높이는 균등하여야 제대로 표현이 됩니다.
5. 그래프 작성시는 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정확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성적통지표 시트
0. 메뉴버튼
(1) [성적표_보기] : 현재 인원의 개인성적을 나타냅니다.
(2) [그래프_작성] : 성적에 따른 그래프를 작성합니다.
(3) [성적표_인쇄] : 전체인원의 성적통지표를 인쇄합니다.
(4) [그래프_삭제]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어떤 시트이든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1. 셀의 삭제 및 추가를 하게되면 값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1)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해당 행.열은 "숨기기"하여 사용하세요.
(2) 셀의 너비, 높이의 조정 및 항목의 수정은 자유롭게 가능합니다.
2.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은 회차(월) 및 학번(개인별)의 입력을 보조합니다.
표시된 인원의 점수를 확인하려면 [성적표_보기] 버튼을 실행하세요.
3. [성적표_인쇄] 시는 해당 회차(월)의 전체인원의 성적통지표를 출력합니다.
4. 그래프가 표시된 셀에도 글자 등의 입력을 자유로이 작성할 수 있으며 그래프와는 무관합니다.
5 (H4) 셀의 내용은 {설정}시트에서 입력한 내용이 (H5)셀의 평균점수에 따라 나타납니다.
나타내고 싶지 않을 때는 {설정}시트에서 공백으로 하세요.
6. (학원의견란)에 작성할 내용도 {설정}시트에서 일괄적으로 작성합니다.
7. 과목(C11:L11셀)은 드롭다운 메뉴로 되어있어 언제든지 변경가능 합니다.
8. 그래프
(1) 셀의 높이, 너비는 적당하게 변경하여 사용하세요.
(2) 그래프는 클릭하여 지워도 됩니다.
(3) 다시 [그래프_작성]를 누르면 그래프를 새로 그리기 때문에 삭제하여도 상관 없습니다.
(4) (B19,M19)셀의 숫자는 그래프 최대 눈금값입니다.
(5) (B19)셀은 막대그래프(점수)의 최대값, (M19)셀은 꺽은선(순위)의 최대값입니다.
(6) 그래프는 그래프의 영역을 벗어날 수도 있으나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7) (B19)셀 막대그래프의 최대값은 만점기준으로 만점값(50, 200점 등)으로 변경하여도 됩니다.
(8) 그래프 작성시는 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정확한 그래프를 볼 수 있습니다.
(현 화면의 오른쪽-하단에 표시되는 100%)
문항_점수:
0. 메뉴버튼
(1) [새로작성] : 새로 작성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
(2) [점수저장] : 작성한 내용을 {저장}시트에 저장함
(3) [문항점수⇒점수입력] : {문항_점수}시트의 입력 내용의 과목합계를 {점수입력} 시트로 복사함
(4) [전체보기] : 전체인원의 점수를 볼 때
(5) [반별검색] : 선택된 반만 필터링함
(6) 스핀단추[작성번호] :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회차/과목별로 찾아옴
1. 과목/문항별 성적입력을 하는 시트입니다.
(1) 한 회차에 여러 과목을 작성하여도 됩니다. (예, 국어, 영어, 수학 등)
(2) 인원별 점수가 배점보다 클 경우에는 빨간색을 표시합니다.
(3) 문항수는 최대 50개까지 가능합니다.
2. 작성순서(방법)
(1) [새로작성]을 실행
(2) 과목(C8셀) 선택, 작성번호(S2셀)/회차(C6셀)/날짜(C7셀) 확인 및 분류설정(X2셀) 확인
(3)배점(F7:BC7셀) 및 분류(분류1, 분류2)(F8:BC9셀) 입력
(4)인원별 점수입력
(5)[문항_저장하기]을 실행
3. [새로작성]
(1) 학번/반명/성명은 {점수입력}시트에 있는 명단을 기준합니다.
(2) 내용 전부를 삭제하고 새로작성할 수 있는 형태로 작성번호를 업데이트합니다.
(3) 회차(월) 및 작성일자는 {점수입력} 시트의 내용을 가져옵니다.
(4) 메뉴를 실행 전에 분류설정(X2셀)을 확인하세요. 분류설정은 {설정}시트에서 설정함
4. 분류설정(분류1, 분류2)
(1) 먼저 {설정}시트에 작성되어 있어야 하고, 해당된 구분을 선택합니다.
(2) 연이어 같은 항목일 경우에는 앞번호만 분류(분류1, 분류2)를 선택합니다.
(3) 즉, 문항별로 해당된 구분을 선택하되 좌측과 동일하면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4) 분류설정은 매 작성시마다 달리하여도 됩니다.
문항_전체:
0. 메뉴버튼
(1) 스핀단추[작성번호] : 작성번호별(회차+과목)로 전체인원의 점수 나타냄
1. 이 시트의 작성내용 없슴
(1) 저장된 내용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작성번호별로 내용을 나타냅니다.
2. 분류1, 분류2의 내용은 {문항_점수} 시트에서 작성된 내용으로 분류하여 나타냅니다.
(1) 분류1, 분류2는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하여야 합니다.
(2) 7행은 합계금액입니다.
문항_개인:
0. 메뉴버튼
(1) 스핀단추[학번] : 개인별/회차별 점수를 나타낸다.
1. 이 시트의 작성내용 없슴
(1) 저장된 내용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우선 회차(월,F5셀)를 작성합니다.
(3) 저장된 데이터가 없는 회차를 선택하면 에러창을 나타냅니다.
(4) 학번별로 내용을 나타냅니다.
2.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으로 학번을 선택하세요.
학번에 따라 성명과 반명은 자동으로 검색합니다.
설정 시트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설정}시트에 작성한 내용을 각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함
(2) [샘플삭제] : 최초 작성된 샘플을 삭제
(3) [라벨_미리보기] : (Q31:U34셀)에 표시합니다.
(4) [라벨_만들기] : {주소라벨} 시트로 전체인원의 내용을 표시합니다.
1. 사용순서
(1) [샘플삭제] 메뉴 실행
(2) 설정내용 작성
(3) [설정하기] 메뉴 실행
(4) {점수입력}{문항_점수} 시트부터 입력/저장
2. [샘플삭제]
(1) 메뉴를 클릭하면 현재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2) 일부시트 셀의 값은 삭제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기본적인 입력데이터는 모두 삭제된 상태입니다.
(3) [샘플삭제] 메뉴는 한번 실행 후 다음부터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3. 설정 시 주의사항
(1) 과목/점수/코멘트/선생님 등 파란색 글자가 있는 셀을 사용자에 맞게 입력하세요.
(2) 이 시트에서 설정된 값들은 다른 시트를 사용시 활용됩니다.
(3) 따라서 기본내용이 변경되면 이 시트부터 수정하여야 합니다.
(4) 등급 및 등급별 사용문구란에 작성한 내용은 점수에 따라 자동으로 {성적표}시트 등에 나타냅니다.
(5) 내용을 표시하지 않을 경우 셀의 내용을 공백으로 하거나 해당 표시되는 셀의 글자색을 변경하세요.
4. 시트의 사용여부 체크
(1) {문항_점수}{문항_전체}{문항_개인} 시트의 사용여부 : (U10셀)에 체크
(2) {주소라벨}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U11셀)을 "사용안함"으로 변경할 것
이렇게 설정시 {주소라벨}시트 및 상단의 관련 메뉴버튼은 보이지 않습니다.
5. [라벨_만들기]
(1) 편지봉투에 붙일 수 있는 라벨을 만듬.
(2) 행,열의 너비 및 높이를 조정하여 인쇄되는 라벨용지와 맞추세요.
(3) 행의 높이를 조정시는 전체의 행높이를 같도록 조정하여야 합니다.
(4) 인쇄 미리보기를 하여 A4용지에 각 주소가 짤리지 않는지 확인하세요.



도면등록대장
도면등록대장
도 면 등 록 대 장
등록번호
도번
도명
관련장비
등 록
폐 기
변경 및
기타 특기사항
비고
일자
담당
확인
일자
담당
확인
양식 QF 0403-01
주식회사강하넷
A4(297X210)
피드 구독하기:
글 (Atom)